2025/11 3

[플레이데이터 SK네트웍스 Family AI 캠프 21기] 11월 1주차 회고

이번주에 드디어 머신러닝이 시작했다. 먼저 기존 프로그램 방식과 머신러닝의 프로그램 방식의 차이점에대해서 이해하고 실제 데이터 분석 실습까지 진행했다.🤖 AI, 머신러닝, 딥러닝의 차이AI (인공지능) : 딥러닝 & 머신러닝 기술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 대부분 정형 데이터. 학습 데이터를 통해 규칙(함수)를 만들어내 결과를 예측하거나 분류하는 기술 분야.Deep Larning (딥러닝) : 인공신경망 알고리즘 기반으로 머신러닝의 한 분야. 비정형 데이터에서 뛰어난 성능을 나타냄.딥러닝 🆚 기존 프로그래밍 방식 vs 머신러닝 방식기존 프로그래밍 방식 : 데이터 / 프로그램 (함수, 알고리즘) -> 컴퓨터 -> 결과 (Output)머신러닝 프로..

AI/AI TECH 2025.11.10

모델 성능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 ✨

데이터 전처리는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머신러닝 모델에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셋을 변환하거나 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도 다양하고 좋아야하지만 동일한 데이터로 데이터 전처리를 어떻게 하냐에따라 모델 성능 결과가 크게 달라진다. 데이터 전처리는 결측치 처리 -> 이상치 처리 -> 인코딩 -> 스케일링 순서로 이루어진다.데이터 중에 결측치(Missing Value)와 이상치(Outlier)가 존재한다. 결측치는 NA, NaN, None, null로 표현되고, 이상치는 잘못된 값이나 극단치를 가지고 있는 값을 말한다.데이터에서 결측치와 이상치의 존재여부를 확인해서 해당 데이터 행를 삭제하거나 해당 값을 대체해주는 작업을 해줘야한다.1️⃣ 결측치 검증 + 대체df.isnull().sum()각 컬럼별 결측 개수..

AI/AI TECH 2025.11.09

AI에서 화이트박스와 블랙박스🤖⁉️

AI(인공지능) 기술이 점점 더 복잡해지면서,"이 모델이 왜 이런 결과를 냈는가?"라는 질문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한다.이 때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 "화이트박스(White Box)"와 "블랙박스(Black Box)" 모델이다.🧩 화이트박스(White Box)란?화이트박스 모델은 내부의 작동 원리를 사람이 직접 이해할 수 있는 AI 모델로,입력부터 출력까지 어떻게 처리되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델을 말한다.예를들어,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 모델들은 화이트 박스 모델에 속한다.선형회귀는 $ y=β_0​+β_1​x_1​+β_2​x_2​+⋯+β_n​x_n​ $ 입력변수..

AI 2025.11.04